-
고조선 역사와 8조법 꼼꼼정리Study 2016. 9. 6. 23:54반응형
고조선을 알아보기에 앞서서 시대적배경을 함께 봐야하는데요 우선은 고조선은 청동기 시대에 속하게되는데요
콩과 수수 보리를 비롯한 밭농사 중심이였지만 농업적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일부 저습지에서부터 벼농사가 시작되었다고해요 벼농사가 정작된것이아닌 벼농사가 시작되었다는것이 중요해요
그리고 청동기 시대에는 간석기가 아닌 청동기를 주물에 부어서 만들기 시작했는데요 청동기 이전시게에는 신석기 시대로서 돌을날카롭게 만들어서 간석기를 사용ㅇ했어요 간석기의 대표적인 유물이 바로 바퀴날 도끼인데요 그리고 비대칭이 홈자귀도 사용했다고해요 마지막으로 가장중요한 반달돌칼은 곡식을 추수해서 이삭을 잘랐던 것으로 전해지고잇어요
청동기 시대의 토기
농경이 어느정도 발달하면서 토기도 더욱 다양해졌는데요 신석기시대에는 주로 강이나 바닷가 주위에살아서 모래위에 저장할수있는 토기를 꼽아서 사용했기떄문에 신석기시대의토기를 자세히 보면 밑에가 볼록해서 평지에 놔두면 서지를 못해요 그러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강과 바다와 거리가먼 산쪽으로 생활을 옮겨감에 따라서 밑이 납작해서 잘설수있는 붉은간토기와 민무늬 토기 그리고 미송리식토기와같은 토기가 발달되어서 사용했다고해요 미송리식토기를 자세히보면 고인동과 거친무늬거울 그리고 비파형동검과 함께 독자적인 청동기문화라는게 중요해요
생활정보
집터를 살펴보면 배산임수지형이 중요한데요 창문 앞에는 물이흐르고 뒷쪽에는 바람을 막아주는 산을 끼고있는 배산임수지형이 농경생활에 적합하다고 할수잇어요 강이나 바다를 끼고 있으면서도 내륙쪽에 기름진 ㅗ양이잇는 평야지대에 점점 모여살게되었는데요 야산이나 구릉지대에서 살았따고해요 그리고 집터를 살펴보면 직사각형의 형태를띄고있으며 신석기 시대보다 깊이잇게 파지않아서 지상가옥화되어가고있어요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구멍을 안판것은 아니니 주의하셔야해요 그리고 불도 이제는 벽쪽으로 밀어넣고 예전에는 집안에 창고와 자는곳이 함께있었다면 이제는 분화를 해서 자는방과 창고를 따로두었다고해요
남성과여성
아마 이때부터 남자와 여자의 역할이 빠뀌었다고 보는견해도 많은데요 그거아세요? 남자들이 백화점에 가서 청바지를 사야겠다고하면 오로지 청바지 코너에만가서 청바지만 사고나면 쇼핑은 끝이에요 하지만 여자는 조금다르죠 청바지를 사더라도 물론 다른것들을 사지는않지만 청바지에 맞는 핸드백과 그리고 청바지위에 입을 블라우스도 코디해볼수있고 힐도 봐야할만큼 정말 많은데요 이떄 함꼐 따라가는 남편들과 남자친구는 스트레스가 어마어마 하다고해요 바로 전쟁터에서 총알을 피하는 스트레스 수치와 맞먹는다고하는데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서 고조선시대에는 사유재산이 늘어나기 시작했어요 예전에는 하루사냥나가서 하루먹고살았다면 이제는 사냥기술이 발달함에따라서 예전보다는 쉽게 사냥을 하게되었는데요 남자들이 사냥을 나가면 여자들은 집에서 쉬지않고 아이들을 보거나 다른일들을 많이 했는데요 이것을 비춰보면남자는 사냥을 하러나가면서 사냥에만 집중하는반면 여자는 여러가지일을 멀티로 해야했기때문에 주위를 두루두루 살피는게 지금까지 이어진다고해요 저도 들으면서 신기햇지만 제법 맞는말같기도하더라구요
고인돌
실재로 고인돌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발견된다고하는데요 고인돌 유적지에 가보면 정말 볼거없는거 아시죠? 고인돌은 의미하는바가 정말 많은데요 고인돌은 탁자식고인돌과 바둑판식고인돌로 나눌수있다고해요 실재로 고인돌을 보러가보면 정말 사람이 들수없는 무게의 돌을 옮겨 놨거든요 이 고인돌이 무엇을 의미하냐고하면 계급이 존재했다는것을의미해요 다시말해 누가 죽어서 무덤을 만들어줄 정도라면 아무나가 아닌 마을에서 또는 부족에서 추앙받는 인물임과 동시에 권위가 어느정도 있었다고해요 실재로 고인돌 무덤에는 각종 청동기들도 함께 묻어있다고해요 고인돌에서는 비파형동검과 함께 고조선의 범위들을 잘알수잇는 척도라고도해요
반응형'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과적인 술냄새 없애는법과 숙취에 좋은음식 best 3 (0) 2016.09.09 모기 퇴치 방제방법 꼼꼼정리 (1) 2016.09.08 꽃향기 너무 좋은 히아신스 꽃말, 키우기 총정리 히야신스 (0) 2016.07.25 후삼국 통일 과정 3편통치체제 (0) 2016.06.29 후삼국 통일과정 꼼꼼정리 2편 광종 (0) 2016.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