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구려 왕조 계보 초간단정리 - 3편 백제 문주왕Study 2016. 6. 9. 01:36반응형
3.백제 문주왕
문주왕은 웅진천도와 왕권약화만 알고계시면되는데요
웅진천도
개로왕의 아들로서 왕위를 물려받은 문주왕은 5c가 지나서 고구려의 적극적인 남하정책을 막으려고 신라에게 구원을 요청해요 하지만 수도인 한성이 함락되면서 한강유역을 빼앗겻어요 그러면서 백제는 웅진으로 도읍지를 옮겼어요 그리고서는 국력의 회복을 위해서 피나는 노력을 했지만 왕권은 이미 약화되고난 뒤였어요 왜냐하면 귀족세력들이 국정운영을 주도했기때문이에요 한강주변을 잃고나서 대외팽창은 위축되었고 더군다나 일본과 중국의 정세가 요동침에따라서 무역활동도 죽게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해요
왕권약화
웅진으로 수도를 천도하고나서 왕비족의 발호로인해 왕권을 약화되었고 국력은 날로 쇠퇴해져갔다. 그러다가 신진세력의 힘으로 인해 피살을당하게되요
4. 동성왕
동성왕은 백제의 24대왕으로서 산성을 만들었고 땅에떨어진 왕권을 다시 회복하려고 애썼어요
국력회복
5c후반의 동성왕때부터 백제는 옛날의 명성을 찾기위해 왕권을 강화하려고 노력을 부단히 했어요
신라와의 동맹
고구려에 대항하게되면서 다시한번 재기를 노리기위해 신라의 오아족인 이벌찬비지의 딸을 왕후로 세워놓으면서 신라의 소지 마립간과 결혼동맹을 맺음. 결혼동맹은 그이후로도 120여년간 유지되면서 나제동맹을 이어나갔어요
산성
수도에 나성과 나성을 다시 만들고 재방비하면서 남진하는 고구려를 견제.
탐라국을 복속
대외적으로는 탐라 복속해서 영토를 확장햇고 중국 남제에 사신을 보냈다
왕권강화시도
외척세력에대해 척결하려는 마음가짐으로 왕권을 강화하려햇다 웅진지방의 토착세력을 다시한번 불러들여서 안정기에 접어들고 국력을 올려나갓다
5.무령왕
왕권강화추진
귀족들의 반란세력들을 즉시처단하고 토벌을 하면서 중앙의 지배세력들을 다시편제하면서 지방에는 22담로를 설치하여서 지방통치조직을 정비함. 지방에는 왕자들과 왕족들을 보내면서 지방에서 반란이일어나는것을 막았어요
민생안정
506년 몹쓸기근으로인해 백성들이 굶어죽게되자 창고를 풀어서 굶주린백성들을 구제했고 510년에는 제방을 다시한번구축하고 국내의 유량인들을 구제해주면서 민생을 챙겼다 이렇게 민생들의 인심을 얻으면서 뒤에 성왕은 왕권을 강화해나가기에 부족함이없었다.
6.성왕
중흥을도모
해외진출의 여건이 충분히 뒷받침되는 사비로 수도를 옮겼다 국호는 남부여로 고치면서 왕권강화에 힘썼다. 성왕이 국호를 남부여라고 고친것은 뿌리가되는 부여가 고구려에게 지배당하면서 부여의 전통성을계승하기때문이라고할수있고 역사적으로 선을 그으면서도 고구려에 밀리지않음을 엿볼수있어요
체제
중앙관청과 지방제도를 정비하면서 중앙관제를 22부로 확대해나갔어요 그리고 실무관청을 두면서도 수도를 5부 그리고 지방을 5방으로 해서 지방의 통치에 힘썻어요
남조와 교류확대
중국의 남조 양나라와 국교를 더욱 강화했고 일본과도 유지했다
불교진흥
인도의 겸일을 데려와서 불교를 진흥하면서 계율을 상당히 많이 강조했는데 불교교단을 정비했으며 그러면서 노리사치계는 불상과 불경같은것을 일본에 전파했다
대외정책
고구려로 부터의 내정이 불안해지면서 신라와의 나제동맹을 통해서 일시적으로 한강유역을 부분적으로 수복했다 하지만 신라의 뒤통수로인해 한강유역을 신라의 진흥왕에게 빼앗기게되엇다 그러자 대가야와 왜를 끌어들여서 직접신라를 공격하게되는데 그러다가 관산성에서 크게 지고나서 성왕은 죽었다. 이로인해 나제동맹은 물론 백재는 신라를 죽이고싶은마음에 고구려와 친분을 쌓아갔고 백제를 강국으로 만들려는 성왕의 바람은 이대로 끝나고말았어요
7.무왕
선화공주와의 혼인을 통해 신라와의 결속을 다시한번 강화했고 미륵사를 세웠고 왕권강화를 위해 부단히 노력햇으나 실패
신라/
1.진흥왕
한강유역차지
백제의 성왕과 연합작전을통해 고구려를 밀어내면서 한강상류지역을 장악했고 백제가 차지한 한강상류지역을 빼앗았다 빼앗은건 2년뒤인 553년 그리고 성왕이 신라를 공격하지만 관산성에서 진흥왕에게 죽음으로서 나제동맹 결렬
삼국간의 항쟁을 주도
진흥왕은 법흥왕을 많이 따라했는데 내부의 결속을위해 전쟁을 많이 주도했으며 정복활동을 펼쳤다. 그리고 삼국간의 항쟁을 주도하면서 판을짰으며 진흥왕은 단양적성비와 4개의 진흥왕 순수비 위치만 외우면된다
대가야정벌
함안의 아라가야와고령의 대가야를 정복하면서 낙동강의 서쪽에 있는 연먕의 모든 지역들을 편입하기에 이름
신라가 한강을 차지한것은?
중국의 수와 당나라와 직접적으로 교류를 할수있음을 의미하고 초석을 다졌다
한경도 진출
동해를 따라서 북쪽으로 전진했는데 함흥평야를 정벌하면서 옥저와 동예를 병합시켰다
순수비
왕이 순수했던곳을 기념하기 위해서 세운 비석,. 광개토대왕비와 비슷한개념이다.
창녕비와 황초령비 북한산비 마운령비 총4개의 순수비와 단양적성비가있다.
6세기경의 신라의 주요비문
영일 냉수리비 - 재산권분쟁은 냉
진흥왕순수비(븍한산비 창녕비 황초령비 마운령비) - 왕이 직접가서 세운것을 순수비라고한다
임신서기석(612) - 화량유교경전
연호
개국 대창을연호로 사용
관제정비
사정부와 품주를 설치 품주는 최고의 행정기관으로서 재정과 국가기밀사무담당했다
화랑도공인
진흥왕은 처년들의 패기를 높게샀는데 이것이 바로 화랑도이다 이때에 찬기파랑가도 만들어졌고 화랑도를 국가조직으로 개편했다
불교정비
황룡사를 건립했고 불교교단을 정비했다
2.진평왕
건복이라는 연호사용
공수동맹
수나라와 공수 동맹 맺음
세속5계
국가의 정신확립하게되었고 원광스님이 개입
3.선덕여왕
황룡사9층목탑과 첨성대를 건립했고 선덕여왕의 유명한 일화는중국에서부터 그림을 왕이 하사했는데 그그림에는 예쁜꽃이있었는데 이를보고 선덕여왕은 저꽃에는 나비와 벌이없기때문에 향기가 나지않는다라고했다 이것은 실재로도 중국이 선덕여왕을 조롱한것으로 일화가 유명하다
4.진덕여왕
성골의 마지막왕으로서 당의 정치제도를 가져왔으며 품주를 집사부와 창부로 개편하면서 좌이방부를 설치했다.
반응형'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k시험일정 모든것 5급 (0) 2016.06.17 신라의 삼국통일 #2 (0) 2016.06.16 신라의 삼국통일 #1 (0) 2016.06.09 고구려 왕조 계보 초간단정리 - 2편 삼국의 발전 (0) 2016.06.08 고구려 왕조 계보 초간단정리 - 1편 삼국의성립 (0) 2016.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