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고구려 왕조 계보 초간단정리 - 1편 삼국의성립
    Study 2016. 6. 7. 23:26
    반응형

    고구려 왕조 계보에대해 알아보기전에 삼국의 성립부터 시작해볼게요

    1편에선느 초기의 고구려부터 신라백제의순서로 왕권의 강화와 중앙집구너화 그리고 영토확장 불교수용 율령반포 그리고마지막으로 기타처럼 고대국가의 특징을 알아볼거에요


    우선 초기의 고구려

    1.성립

    부여에서 내려온 이주민 집단과 압록강 유역의 토찾민집단이 힘을 서로 합쳐서 이뤄졌고, 이들 부족은 중국문화와 북방민족의 유목문화에 접한 경험이 비슷하기 때문에 결속력을 강화하면서 정복국가체제로 전환을 할수있었다.


    2.건국

    삼국중에서 가장먼저 국가체제를 이루고 정비한것은 고구려 였는데 졸본(만주 환인)지역을 근거로 성장하던 고구려가 수도를 졸본성(고구려의 1번째 수도)에서 압록강 중류의 국내성(고구려의 2번째수도)으로 도읍을 옮겨서 나라의 초석을 다졌다.


    3.태조왕

    초기의 고구려에서 중요한왕읠 뽑으라면 태조왕과 고국천왕이 있을텐데요

    태조왕은 중앙집권국가의 기틀은 마련했고 1세기 후반에 태조왕때는 정복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는데 동쪽 동해안으로 진출해서 옥저와 동예를 정복하고 함경도 지방을 확보했고 남쪽으로는 압록강을 넘어 청천강 유역에 이르는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서쪽으로는 만주지방으로확장했고 한 군현공략하여 요동지방으로 진출했다.


    왕권강화

    주변지역에 대한 활발한 정복과정에서 커져버린 군사력과 경제력을 토대로 왕권을 안정시켰는데 왕위계승권이 종전 연노부에서 계루부출신의 고씨가 독점점으로 세습되도록했다 이것은 형제상속이라고도한다


    중앙집권화 토대

    통합된 여러집단들은 5부체제로 발전했고 집단적 고나료 조직을 갖추어 감으로써 고대국가의 기틀을마련했다


    4.고국천왕

    2번째로 중요해서 뺴먹으루없는 고국천왕인데요 왕권강화와 중앙집권화의 진전을 최대업적이라고 뽑을수있는데요


    체제개혁

    부족적인 전통을 지녀 온 5부(순노부 계루부 절노부 관노부 순노부 계루부의족장이 고씨)가 동부 서부 북부 남부 중부의 행정적 5부로 개편하여 5부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했다.


    왕위 계승방식의 변화

    형제끼리 주고받던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 바뀌었다


    중앙집권화의 진전

    지방의 족장들이 중앙 귀족으로 편입되는 등 왕권강화와 중앙 집권화가 한층진전 되었다


    진대법의 실시

    농민생활의 안정을 위해서 재상 을파소의 건의로 진대법을 실시 했으나 결과적으로는 귀족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국상제도

    한미한 출신의 을파소를 국가 재상에 임명함으로써 왕원을 강화하려고했다

    초기의 백제

    1.성립

    부여와 고구려 지역에서 내려온 유이민 세력이 한강 유역의 토착세력과 연합하여 세운마한의 소국 가운데 하나인 백제국에서 출발했다(기원전18세기)


    2.지배층

    온조가 이끌고 온 유이민 세력은 우수한 철기문화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들이 백제의 지배층을 형성했다.


    3.발전

    한강유역에 자리잡은 백제는 주변 세력을 통합하여 연맹왕국으로 발전하였고, 점차 마한을 대신하는 정치세력으로 발전하였다. 건국 직후의 중국의 한나라가 한강유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려 들자 한 군현을 막아내면서 점점 성장했고 3세기전반에는 신라와 경쟁하면서 세력을 더욱 키웠더ㅏ.


    4.고이왕

    중앙집권국가의 기틀을마련했다


    한강유역 장악

    밖으로는활발한 정복활동을 벌여 목지국을 정복하고 북쪽의 대방 낙랑과 싸우면서 한강유역을 완전히 장악했는데 중부지방이다. 마한의 중심세력이 되었고 한강유역의 자연환경은 농경에 적합할 뿐만아니라 ㄹ바다를 통해 중국의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기에 유리하였기 때문에 한강유역에 자리잡은 백제는 빠르게 성장할수있었다


    국가 통치조직정비

    안으로는 이오같은 중국과 교류하기유리한 지리적 조건과 풍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등제의 정비와 함꼐 관복제를 도입했고 율령을 반포하는 등 국가의 통치조직을 정비함으로써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의 토대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남당의 성치

    도당이라고도하며 초기에는 귀족의 협의체 기구로서 군신들이 모여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중앙 관청의 기능을 했으나, 고대국가의 체제가 정비되고 왕권이 강화되면서 행정적인 긴으보다는 연회나 기타의식을 행한느 형식적인 긴으으로 변했다.

    초기의신라

    성립

    신라는 처음 진한의 한소국이렀던 사로국에서 출발했다. 고조선 멸망 후에 고조선 유이민이 경주로 이주하여 경주 지역의 토착민 집단과 6촌을 이루었고,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형성되어있던 이들 사로 6촌이 연합하여 박혁거세 집단을 중심으로 사로국을 건설했다. 후에 6촌을 6부라고 불렀는데 이떄 각 부는 별도의 영역과 주민을 자치적으로 다스렸다. 철기를 다루는 기술이 뛰어났던 사로국은점차 주변의 소국들을 정복함으로써 국가로 발전했다.


    연맹왕국의 형성

    건국 설화에 따르면 경주 6촌의 촌장들이박혁거세를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이후 동해안으로 들어온 석탈해 집단이 등장하면서 박 석 김 3개의 성이 교대로 왕위를 차지했다.


    삼국중에서 신라가 가장 발전이 늦은이유?

    우리나라의 동남쪽에 치우친 신라가 위치한 지역은 서쪽과 북쪽으로 산이 막혀있고 동쪽이 바다로 막혀있어서 외부에서 사람들이 이주해오기 어려운 환경을가지고있는데 이에따라 토착세력의 세력만 강해지고 이주민집단은 토착세력에 흡수또는 동화되는수밖에 ㅇ벗었다. 또한 신라초기에는 박석김3성이 돌아가면서 왕이 되었던 데서 볼수있는데, 여러 세력이 연합하여 만든 나라였기때문에 강력한 왕권이 성립하기 어려워서 국가발전이 고구려나 백제에 비해 늦었다.


    신라왕호의 변천

    신라에서는 점차 정치적 군장과 제사장의 기능이 분리되면서 왕의 칭호가 거서간과 차차웅을 거쳐서 이사금으로 바뀌었다. 이사금에서는 유력집단의 우두머리가 추대되었지만 주요집단에서는 여전히 독자적ㅇ니 세력이 강해서 중앙집권국가로 발전되기 어려웠다 하지만 2~3세기에는 주변의 여러소국을 병합해오는과정에서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1.내물마립간

    왕권강화

    신라가 중앙집권국가의 모습을 갖춘것은 4세기 후반 내물왕 때에 이르러서 였다. 활발한 정복활동으로 낙동강 동쪽의 진한 지역을 거의 차지하고 중앙 집권국가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박석김 3성이 교대로 왕위 계승을 하다가 이때부터 김씨가 독자세력으로 우뚝솓아오르면서 김씨에 의한 왕위 계승권이 확립되었고 왕의 칭호도 대군장을 뜻하는 마립간으로 바뀌었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왕권이 안정되고 다른 집단 들에 대한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강화 되었음을 의미한다.


    왜구 격퇴

    내물왕은 활발한 정복 활동을 벌여 낙동강 동쪽 진한의 여러나라를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나 아직 고구려와 대등한 나라로 성장한것은 아니였다. 내물왕때 가야 왜의 연합세력이 신라를 침략해오자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도움을 받아 이를 물리쳤다. 이과정에서는 광개토대왕의 군대가 신라 영토내에 머물기도했다. 신라는 한동안 고구려의 간섭을 받았고 고구려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북중국의 전진과 교류해서 중국의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성장했다.


    호우명 그릇

    5세기 만들어졌고 을묘년국강상 광개도지호태왕이라는 광개토 대왕의 시호가 광개토 대왕릉비와 같은 글씨체로 새겨져 있어 당시 고구려가 신라에 상당한 역향력을 행사한것을 알수있다.


    가야연맹

    성립

    철기문화가 발달했었기에 철기문화를 토대로해서 농럽생산력을 극대화 시켰고 낙동강 하류의 변한 지역에서는 2세기 이후 여러 정치 집단들이 나타나기 싲가했다. 이와같이가야의 여러나라는 낙동강하루유역에위치한변한 소국에서 기원했다 가야지역에선느 이주민세력이 주로 해변으로 들어왔으나 신라처럼 토착세력이 너무 강했다.


    가야는 전기가야 후기가야로 나눌수있다

    전기가야연맹 3세기

    연맹의 맹주

    3세기경에는 소국들 사이의 통합이 한단계발전하여 김해의 금관가야가 중심이 되어 연맹왕국으로 발전했다. 금관가야가 연맹을 주도했던 시기를 전기가야연맹이라고부른다


    금관가야 성장

    변한의 구야국에서 출발한 김해의 금관가야는 풍부한 철을 생산했고 낙동강 하류에 위치해있어서 해상활동에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질좋은 철은 무기와 농기구를 만드는데 사용되었고, 덩이쇠를 만들어 화폐와같은 교환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했다 그리고 한의 군련과 왜의 규슈지방을 연결하는 교역활동을 통해 부를 축적했다 수준높은 철기문화를 발전시킴으로서 3세기 중반 가야연맹의 중심세력으로 급부상했다.


    쇠퇴

    연맹의 맹주인 금관가야는 김수로에 의해 건국되었는데 그세력범위는 낙동강을 끼고있었다 그러나 4세기 초에는 백제와 신라의 팽창에 밀려서 전기가야연맹은 약화되기시작했다. 고구려가 신라에 침입한왜를 쳐부수는 과정에서 금관가야 까지 공격하자 금관가야는 큰타격을 입어 맹주로서의 지위가 흔들렸고 결국에는 고구려 군대의 공격을 받은 금관가야는 몰락했고 가야의 중심세력은 해체되\ㅐㅆ다.

    후기가야

    배경

    고구려의 공격으로 5세기 초에 전기가야 연맹이 해체 되면서 김해 차원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부지역의 세력이 약화되었다


    연맹의 맹주

    후진 지역이었던 북부지역의 고령 합천 겇ㅇ 함양등지의 세력은 5세기 후반 백제와 신라가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하는데에 힘을쏟는사이에 대가야를 중심으로 ㅎ나 가야연맹은 세력범위를 섬진강 하류와 소백산맥 서쪽까지 확장 했다. 그리고 백제와함께 고구려의 침입을 받은 신라에게 도움을 주기도했다


    대가야의 성장

    대가야 역시 질좋은 철을 많이 생산했고 좋은 농업입지조건을 갖추고있었다. 5세기 후반 백제와 신라가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하는데에 힘을쏟는 사이에 대가야를 중심으로 한 가야연맹은 세력범위를 섬진강 하류와 소백산맥 서쪽까지 확장했다. 또한 백제와 함께 고구려의 침입을 ㅂ다은 신라에 도움을 주기도한다.


    외교관계

    6세기 초에대가야는 백제와 신라와 대등하게 세력을 다투게 되었고 중국남조에 사신을 보내서 교류하기도했고 신라와 결혼동맹을 맺어서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려 했다. 이처럼 6세기 전반에 대가야는 백제오 ㅏ영토분쟁을 벌일 정도로 위세를 떨쳤으나, 백제와 신라의 끊임없는 침략에 시달렸다.


    가야연맹의 해체

    백제와 신라가 이미 중앙집권체제를 마련한것에 비하여, 가야 연맹은 각 소국이 독자적인 정치기반을 유지하고 있었기때문에 지배력을 집중시키지 못햇다 6세기에 이르러 가야연맹은 한강유역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백제오 ㅏ신라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두나라의 팽창 압렫을 받아 윛구되었다,. 결국 신라와 백제의 ㅊ미략으로 후기가야 연맹은 분열하여 김해의 금관가야가 신라에 정복당했고 가야의 남부지역은 신라와 백제에 의해 분할점령되었다 이어 대가야가 신라에 멸망하면서 가야연맹은 중앙ㅈ비권국가로서의 정치적발전을 이룩하지 못하고 여러 소국의 연맹왕국단계에서 완전히 해체되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