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당 최저임금 1만원 정말 좋을까?Study 2017. 6. 9. 01:41반응형
최근 군대간 병장 월급이 30퍼센트가 오른다는 뉴스를 봤는데요 내년 2018년에는병장 월급이 40만원까지 된다고 하더라구요 정말 우리나라를 지키는 국군장병들의 월급은 그동안 최저임금도 제대로 받지못하다가 이제서야 최저임금의 반도 못되는 월급을 받는 이유에대해서 조금이라도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 물가는 자꾸오르는데 내월급만안오르는것만같은데요 지금부터 시간당 최저임금 1만원에 대한 저의 주관적인 생각을적어보겠습니다
2017 시간당 최저임금 얼마일까?
현재의 최저임금은 6470원으로 되어있습니다. 작년 6030원보다 4백40원 늘어났어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시간당 최저임금은 어떻게 되나요? 아직 여러직군들이나 아르바이트자리일경우 최저임금조차도 못받는곳이 있다고하는데요 그 대표적인곳이 바로 편의점인데요 업무강도가 낮다고해서 혹은 장사가 잘안되기때문에 등 여러가지 이유로 최저임금을 못받고있는데요 최저임금이라함은 말그대로 보면 가장 낮은 노동시간과 강도에 따라서 최저로 줄수있는 최저로 책정한 임금인데요 물론 법적으로 명시가 되어있습니다.
나라에서 최저임금보다 밑으로 준다면 안된다는 일종의 마지막마지노선같은 개념인데요 하지만 모든 노동에 시간당 최저임금이 적용되는것이아니라 업무 강도에 따라서 조금씩은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최저임금에 대한 맹점도 나타나고 있는데요 법정 최저임금만 고수하는 사업장에서는 근로자들이 노동강도에 따른 돈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고생각해서 항의를 하면 법에서 정해놨기때문에 주는거다라고 나와버리면 할말이 없는데요
불법은아니지만 편법이 약간보이는 담합 하닌 최저임금 담합이 나올수도있어요 그렇게 보면은 가장 불리한 위치에 있다고 말할수있는 최저임금을 받지만 노동의 강도는 현저히 낮은 사람들을 쓰는 사장님들 일수밖에없는데요 편의점알바를 고용한 사업주들과 큰 차익을 못보는 영세업자들에게는 재앙과도 같은일입니다. 큰회사들은 충분히 가능하지만 역으로 영세상인들은 시급을 1만원씩 줘버리면 남는게 별로 없다고 해요
조금 더 쉬운 설명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나인투식스. 그러니까 아침9시에 출근해서 저녁 6시에 칼퇴근하고 주5일출근에 1일 8시간씩 근무를했을때에 시간당 최저임금 1만원일경우 일당이 8만원씩. 한달 중에서 주말을 빼면은 약 22일이되는데요 이때 176만원이 최저시급을 적용해서 계산된순수 월급을 받을수있는데요 그리고 주휴수당을 반드시 줘야하는데 8만원씩 4번 32만원정도가 되겠네요 갓 취업한 사회초년생도 기본적으로 아무리 못해도 다합쳐서 세전 208만원을 받는다는이야기인데요 그리고 큰회사일경우 4대보험을 회사에서 내줘야하는데 따라서 1명 고용했을때에 아무리 못해도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줘여하는 월급이 224만원정도가되는데요 말단 사원이나 경리부터 시작하더라도 200만원 초반부터 시작되는 연봉인데요
하지만 우리 사회속에서는 칼퇴근은 잘없고 주5일도 잘없습니다. 그렇기때문에 모든 시간을 다계산한다면 200만원을 훌쩍넘어서 삼백만원이 사회초년생 월급으로 들어오게되면서 이제 우리나라는 빅맥지수가 엄청나게 높아지는 시대를 맞이하게될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시간당 최저임금으로 1만원을 받는다고해서 모든부분이 나아질수는 없어요 사회 구축시스템도 변화해야하고 개혁을 펼칠때에는 분명히 손해보는 사람도 있기 마련입니다. 이상으로 제 주관적인 고찰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비효과 원래 뜻은 갈매기 효과였다고?? 카오스이론 (0) 2020.03.16 포항지진피해사진과 여진 그리고 개인적 견해 (0) 2017.11.17 효과적인 술냄새 없애는법과 숙취에 좋은음식 best 3 (0) 2016.09.09 모기 퇴치 방제방법 꼼꼼정리 (1) 2016.09.08 고조선 역사와 8조법 꼼꼼정리 (0) 2016.09.06